본문 바로가기
책보기와 글쓰기로 작은 역사를 살펴본다

트렌드 코리아 2022/ 김난도 외.

by 자유인(남상) 2022. 7. 29.

- 김난도 교수님외 여러분들이 편저한 트랜드 코리아 2022년을 읽었습니다. 회사에서 독서 강의를 통해 마케팅 관련 책들을 두번째 읽어 봅니다.

 

- 2021년의 우리나라는.

1. 반전의 서막  : 코로나 19로 인한 2년여의 고통을 지나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는 시간으로 설명 합니다.

2. 일상력의 회복 : 역시 코로나 이후,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'본래의 가치'를 되돌아 보는 회복을 바라고 있습니다.

3. 나를 찾아가는 시간 : 요즘 소비자들의 핵심은 '나' 와 '재미' 로 귀결 됩니다. 나를 중심으로 살아가는 세대 입니다

4. 혁신하기 가장 좋은 때 : 기업의 조건은 '회복 탄력성'에 있습니다

5. 부쩍 다가온 신시장 : 자본주의 키즈들은 중고시장, 구독시장, 금융시장에서 새로운 변화를 찾아본다

 

- 2022년 트렌드

1. 나노 사회 : 한국사회가 파편화 되어 간다. 공동체가 개인으로 조각조각 부서져 더 미세한 존재로 분회되어 고립되어 간다. 이를 '나노 사회'라 칭해본다.

2. 머니 러시 : 자본주의 키즈는 돈에서 편견이 없다. 수입을 다변화하고, 수익을 극대화 하려 한다. 소비에도 관심을 두고, 새로운 N 잡러의 도전과 레버러지도 두려워하지 않는다.

3. 득템력 : 값비싼 브랜드 제품이 아니라, 갖기 어려운 아이템을 누가 얻는가가 과시와 차별화의 요소가 되고 있다

4. 러스틱 라이프 : 촌스러움이 힙해지고 있다. 시골의 재발견이다

5. 헬시 플레저 : 역병의 시대를 지나면서, 건강에 대한 관심이 부쩍 많아지고 있다. 가정과 결과가 모두 즐겁고 지속가능한 건강관리가 대세가 되고 있다

6. 엑스틴 이즈 백 : X세대 중에서도 1970년대생을 중심으로 새로운 소비층이 중요해 진다. 10대들의 아버지는 자기들을 위해 소비할 줄 아는 엑스틴 이다.

7. 바른 생활 루틴이 : 자기 주도적으로 생을 살아가고자 하는 신인류 집단이다

8. 실재감 테크 : 시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, 완전한 실재감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이 대세가 되고 있다.

9. 라이크 커머스 : 제조자가 생산해 유통업자가 판매하고 소비자가 구매하는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. 소비가가 독자적으로 기획,제작,판매를 총괄하는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고 있다. 좋아하면 사는 시대이다.

10. 네러티브 자본 : '서사'는 힘이 세다. 강력한 '서사'를 갖추는 순간 큰 주목을 받는다.